- 문체부 평창올림픽을 통해 지역민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창조경제모델 개발에 앞장서
- 기존 국내의 국제행사의 경우 지역민보다는 기업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구조
- 미니리조트 사업, 올림픽 배후도시, 마을관광 사업 등을 통해 지역이 웃는 올림픽 개최되야
1.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가 진행되는27일 동안 매일 약 5만1천여 객실의 숙박소요 발생
❍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2018. 2. 9 ~ 2.25(17일간), 100여개국 5만여명
❍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2018. 3. 9 ~ 3.18(10일간), 50여개국 3,000여명
❍ 참여 대상별 숙박소요 현황
※ 표 : 첨부파일 참조
2. IOC와 협의를 통해 올림픽 플라자 기점 60분대 숙박시설 3,811개소 82,502객실까지 숙박가능
❍ [기존] 평창, 강릉 ⇨ [변경 후] 평창, 강릉, 양양, 속초, 동해, 삼척, 횡성, 원주
※ 표 : 첨부파일 참조
3. 하지만 ‘1인 1실 1화장실 조식’원칙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그룹의 숙박소요 2만실을 제외하면 대회운영인력, 관람객은 모텔, 펜션 등의 숙박시설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져 강원도와 올림픽 조직위는 숙박시설 질에 대한 우려가 높아
※ 표 : 첨부파일 참조
4. 이에 숙박 분야의 주체인 강원도, 조직위, 해당 시ㆍ군은 지역민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대안으로 문제를 풀기보다 현안 문제 속에서 우왕좌왕 중
➀ 기존 숙박시설에 대한 활용보다 올림픽 후 사후활용 대책 없는 신규시설 건립에 혈안
※ 표 : 첨부파일 참조
➁ ‘15. 1월부터 클라이언트 그룹과 숙박계약을 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숙박시설 등급 재분류 및 객실요금 책정’ 미시행
➂ 올림픽 홍보 및 예약에 필요한 관내 숙박시설에 대한 통합적 서비스와 올림픽대회 입장권 예약ㆍ판매를 제공할 ‘숙박안내 및 예약시스템’ 미구축
5. 또한 「관광숙박시설 확충을 위한 특별법」 제16조에 명시된 숙박관련 기관들의 협의체인 “관광숙박대책위원회”까지 부재
❍ 숙박시설 확보ㆍ계약, 서비스 개선 등의 문제를 협의하는 것이 효율적임에도 아직 위원회가 구성ㆍ운영되지도 않아...
※ 표 : 첨부파일 참조
6. 문체부는 기존의 노하우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지역민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지혜로운 대안을 제시해야
➀ “관광숙박대책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통한 숙박문제에 대한 범조직적 통합 해결
➁ 지역민에 의한, 지역민을 위한 ‘관광두레’처럼 지역민에게 이득이 되는 숙박시스템 도입 필요
※ 표 : 첨부파일 참조
➂ ‘(가칭)미니리조트’를 통해 올림픽 개최지 및 배후도시 지역민이 운영하는 숙박시설에 대해 컨설팅 및 심사 통과시 정부의 인증을 통한 지원 필요
- ‘베니키아 호텔체인’의 시설 및 서비스 인증기준을 바탕으로 올림픽 개최지 및 배후도시 지역민이 운영하는 숙박시설에 대한 컨설팅
- 심사에 통과한 숙박시설을 하나의 단지로 묶어 ‘미니리조트’로 명하고 이에 대해 문체부의 시설 인증
- 지역민들이 운영하는 숙박시설을 이용해 사후활용까지 해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