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개 시․군 13,913개 관정 조사한 결과, 5,226곳 부적합
- 유해 무기물질인 질산성질소 검출 3천여건, 대장균 검출 2,500여건
- ‘안심지하수사업’ 전국으로 조속한 확대 필요
환경부가 추진 중인 ‘안심지하수 사업’으로 9개 시․군의 지하수 수질검사를 한 결과, 3곳 중 1곳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석현 위원(새정치민주연합, 안양 동안갑)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3년까지 9개 시군, 총 13,913개 관정에 대한 수질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은 37.6%인 5,226곳으로 조사됐음.
지역별로는 전남 해남군이 48.1%로 부적합률이 가장 높았으며, 충남 서산시 43.0%, 충남 태안군 38.3%, 경북 김천시 35.3%, 경북 성주군 25.7%, 경기 포천시 17.1%, 경기 가평군 6.8%, 경기 연천군 4.3% 순으로 나타났음.
※표: 첨부파일 참조
검출내역으로는 건강상 유해 영향 무기물질인 질산성 질소가 3,485건(47.3%)으로 가장 많았으며, 총대장균군 2,315건(31.4%), 분원성대장균군 663건(9.0%) 등으로 나타났음.
※표: 첨부파일 참조
이 위원은 “상수도 미보급으로 인한 음용수 취약계층이 전국적으로 82만여 명에 달하는데, 지하수를 식수로 활용하는 국민들의 건강이 우려된다.”며, “지하수 수질검사 사업을 전국으로 조속히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음.
또한 “현재 환경부는 부적합 판정에 대해 해당 지자체에 통보만 할 뿐”이라고 지적하고, “검사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상수도 보급 확대 등 조속한 대안마련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음.
<참고> 안심지하수 사업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아 지하수를 식수로 이용하고 있는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수질을 조사해 주는 사업으로 2018년까지 연차별로 음용지하수에 대한 수질조사를 완료할 계획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