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은 김명수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해 ‘부적격 인사’라며 강력 비판했다.
윤관석 의원은 “지난 6.4지방선거에서 13명의 진보교육감이 당선됐다”며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교육만큼은 제대로 해야 한다는 국민과 학부모의 뜻이 반영된 결과인 만큼 새로운 교육부장관은 진보교육감들과 호흡을 맞춰 학생과 학부모의 뜻을 실현할 장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윤 의원은 “정부조직법이 개정될 경우 교육부장관은 교육부의 수장을 넘어서 사회?문화?교육을 총괄하는 사회부총리를 겸직하게 된다”며 “사회부총리를 겸임하는 교육부장관은 대한민국 사회 전반의 통합과 조율을 수행해야 하는 막중한 자리인 만큼 이념을 넘어 산적한 교육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장관이어야 하지만 김명수 후보자는 교육행정 경험이 없을 뿐 아니라 통합과 조율이 불가능한 편향적인 인사”라고 밝혔다.
2017년 수능부터 필수과목이 되는 한국사에 대해 김명수 후보자가 ‘필요하다면 이념 투쟁도 해야 한다’면서 ‘국정 교과서 체제로 가거나 정부가 교과서 집필과 관련된 세부 지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14.2.14 문화일보 인터뷰)한 것에 대해 윤관석 의원은 “박정희 정권 때 독재를 합리화시키고 단일화 된 내용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검정체제였던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시켰었다”며 “국정교과서는 이미 구시대의 유물로 정권 입맛에 맞는 역사를 만들겠다는 후진독재국가에서나 있을 법한 발상”이라고 일침했다.
아울러 윤관석 의원은 학생인권조례를 ‘특정 이념 하에 정치적 목적을 갖고 만들어진 것’이라고 폄훼하며 ‘학교 현장에서 학생 인권이 넘칠 정도로 보장되고 있다’고 발언한 김명수 후보자에 대해 “현재 학생들은 열악한 교육 환경에서 과도한 입시 경쟁으로 고통받고 있다”면서 “학생을 경시하는 교육부장관이 백년대계라는 교육정책을 이끌어 가도록 두어서는 안된다”고 강력 비판했다.
또한 그는 “학생의 눈물과 고통으로 정권 입맛에 맞는 역사왜곡을 일삼기 위해 교육부장관을 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과도한 입시경쟁이 초중학생들에게 내려가 사교육 과열이 심각한데도 경쟁교육 확대를 강조하고 있는 김 후보자가 교육부장관이 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어두울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윤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은 친일?극우 총리 지명에 이어 극우 내각을 꾸리려 하고 있다”며 “통합 대신 분열을 일으킬 인물을 교육부장관으로 앉혀서는 안된다”고 강조하며 “김명수 후보자는 정부부처를 통솔하고 산적한 교육과제를 풀어낼 인물로는 부적합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