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정규직 이직율 21.8%
- 연구인력 이직으로 인한 기술유출, 연구단절 부작용 우려
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비정규직 문제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새누리당, 경기 평택을) 의원이 경제인문사회연구회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26곳의 현원은 5,281명인데, 이 가운데 45%에 달하는 2,377명이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경우 현원 487명중에 354명, 무려 72.7%가 비정규직이다.
문제는 이들 비정규직의 이직율이 매우 높아, 기술유출 및 연구단절 부작용 문제가 우려된다는 점이다.
실제로 경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비정규직 이직율은 무려 21.8%. 정규직 이직율이 4.6%인 점을 감안하면 약5배 가량 높은 수치이다.
최근 3년간 경제인문사회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수행한 연구과제 중 가운데 연구책임자가 변경된 경우가 124건인데, 이 가운데 25.8%(32건)이 연구자의 이직 및 퇴직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과제가 중단된 경우가 28건이었는데, 이 가운데 25%(7건)이 연구자의 이직 및 퇴직에 의한 것이었다.
유 의원은 “국가정책에 필요한 연구사업을 추진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불안정한 고용으로 인해, 연구단절 및 기술유출 논란이 계속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원들이 모두 소명감을 가지고 연구활동에 몰두할 수 있는 조직관리와 사기진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표: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