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윤영일 의원(민주평화당, 해남·완도·진도)은 ‘지역민과 환경단체 간 갈등으로 인해 적기 개항이 차질을 빚고 있는 흑산공항 건설에 대해 정부가 갈등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도서지역에 대한 접근성 향상과 지역관광 활성화, 영호남 상생 발전, 해양 영토수호 강화 등을 위해 흑산도와 울릉도에 소형공항을 건설하기로 결정해, 2012년 예비타당성을 조사 착수하였고, 조사 결과 비용편익(B/C)이 4.38(올해 재조사 결과 1.9~2.8)로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나와 2015년 기본계획을 고시하였다.
이후 울릉공항은 건설에 차질 없이 추진되고 있는 반면, 흑산공항은 지역민과 환경단체 사이에 교통기본권과 환경훼손 문제로 인한 대립으로 당초 예상했던 시기보다 건설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흑산도 지역민들은 도서지역의 교통기본권 및 주민 생존권을 위해 흑산공항의 신속한 사업 추진을 주장하고 있다. 실제 흑산도는 연간 50일 정도가 기상악화로 인해 육지로 나오는 유일한 교통수단인 배를 운항할 수가 없다. 그로 인해 흑산도 주민들은 응급환자가 발생해도 기상이 좋지 않으면 병원에 갈 수 없어 생명과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다.
하지만 흑산공항 건설을 반대하는 환경단체는 “흑산공항이 건설되는 부지는 국립공원으로, 공항 건설 시 환경훼손 및 조류 충돌 위험이 높다”며 국립공원 내 공항 건설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윤영일 의원은 “흑산공항 부지는 소각장과 분뇨처리장 등으로 인해 이미 국립공원의 기능을 상실한 지역이다”고 주장하며, “흑산공항 건설은 지역의 균형발전과 낙후된 지역경제를 실릴 기회다”고 밝혔다.
또한 윤영일 의원은 “흑산공항 건설 지연이 장기화될 경우 흑산도 및 인근 지역 주민의 교통기본권 제약과 공항 건설 사업비 증가 등으로 경제적·인구적 손실이 불가피하다”며 “흑산공항 건설이 더 이상 지연되지 않도록 정부는 지역민과 환경단체, 국립공원위원회와 함께 교통기본권, 환경훼손 문제 등을 논의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윤영일 의원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방안> 정책자료집을 발표했다. 무안국제공항은 높은 수용능력, 24시간 운영공항 등의 강점과 광주공항의 국내선 이전, KTX무안공항 경유, 주변 거점공항의 수용능력 초과 등의 기회요인을 갖고 있어 흑산공항과 연계 시 서남해안권역을 대표하는 지역공항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