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의회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최근 5년간 김포, 제주, 무안, 여수, 울산, 양양 등 6개 공항에서 발견된 항공기 이동지역 내 이물질(FOD) 931건

    • 보도일
      2018. 10. 18.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송석준 국회의원
2014년 84건에서 지난해 319건으로 3년 새 4배 가까이 급증 -이물질 적발 건수 2014년 84건, 2015년 76건, 2016년 들어 361건으로 대폭 증가, 지난해에도 319건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 -공항별로는 김포공항이 2014년 7건, 2015년 7건에서 2016년 157건, 지난해 120건으로 적발건수가 14년 대비 17배나 증가, 제주공항도 2014년 5건, 2015년 3건에서 2016년 116건, 지난해 123건으로 3년 새 적발건수가 24배나 급증 -공항공사 “2016년 이전에는 세부적으로 기록하지 않았으나 2016년 들어 기록을 강화한 탓”별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 -하지만 여수나 울산, 양양공항의 경우 이물질 발견건수가 줄어든 반면, 김포와 제주공항만 이물질만 대폭 증가해…원인 파악해야 -종류별로는 아스콘의 적발건수가 318건(34.2%)으로 가장 많았으며, 철재류 103건(11.1%), 플라스틱 82건(8.8%), 석재류 80건(8.6%) 순 -공항별로 적발물질에도 차이 있어…무안공항과 울산공항의 경우 아스콘 적발률이 각각 96.9%, 93.8%, 김포공항 플라스틱과 종이 적발률 43.7%, 제주공항은 철재류 적발률 35.7% -송석준 의원 “공사는 몇몇 공항에 특정 물질이 과다하게 발견되는 것을 두고도 그 물질에 대한 기록을 열심히 했다는 등의 안일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적어도 해당 공항에 왜 그런 물질이 많이 발견되는지 원인 분석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해야 ” □ 공항 활주로에서 장갑, 헝겊, 종이, 비닐 등 이물질 발견이 급증하고 있어 항공기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1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김포, 제주, 무안, 여수, 울산, 양양 등 6개 공항에서 발견된 항공기 이동지역 내 이물질(FOD)은 총 931건으로 확인됐다. ○ 연도별로 보면, 2014년 84건에서 2015년 76건으로 감소했으나, 2016년 들어 적발 건수가 361건으로 대폭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도 319건의 이물질이 발견돼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공항별로는 김포공항이 2014년 7건, 2015년 7건에서 2016년 157건, 지난해 120건으로 적발건수가 14년 대비 17배나 증가했고, 제주공항은 2014년 5건, 2015년 3건에서 2016년 116건, 지난해 123건으로 3년 새 적발건수가 24배나 급증했다. ○ 공항공사는 이를 두고 2016년 이전에는 세부적으로 기록하지 않았으나 2016년 들어 기록을 강화한 탓에 건수가 증가했다며 별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 하지만 여수나 울산, 양양공항의 경우 이물질 발견건수가 줄어든 반면, 김포와 제주공항만 이물질 발견 건수가 대폭 증가한데 대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 발견될 이물질도 장갑, 헝겊, 목재류, 콘크리트, 아스콘, 비닐 등으로 다양했다. 그 중에서도 아스콘의 적발건수가 318건(34.2%)으로 가장 많았으며, 철재류 103건(11.1%), 플라스틱 82건(8.8%), 석재류 80건(8.6%)이 그 뒤를 이었다. ○ 공항별로 발견되는 이물질에도 차이가 있었다. ○ 무안공항과 울산공항의 경우 아스콘 적발률이 각각 96.9%, 93.8%에 달했으며, 김포공항의 경우 플라스틱과 종이의 적발률이 전체의 43.7%, 제주공항은 철재류 적발률이 35.7%로 가장 많았다. ○ 이에 대해 송석준 의원은 “공사는 몇몇 공항에 특정 물질이 과다하게 발견되는 것을 두고도 그 물질에 대한 기록을 열심히 했다는 등의 안일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이물질로 인한 사고 위험이 큰 만큼 적어도 해당 공항에 왜 그런 물질이 많이 발견되는지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해 이물질 발견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표 :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