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할 지자체 ‘사적해지신청’ 했지만 문화재청 명칭만 변경
사적으로 지정된 국가지정문화재가 30년이 지난 후에 시대적, 역사적 사실이 다른 것으로 확인되어 명칭을 변경한 사실이 확인됐다.
민주평화당 최경환 의원(광주 북구을,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은 16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서울 남현동 요지’는 서울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백제 토기를 굽던 가마터로 확인되어 1976년에 사적으로 지정됐다”며 “그러나 이후 30년 동안 사실상 방치되다 2006년 시굴조사 결과, 백제시대 요지가 아닌 통일신라시대 토기 폐기장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이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은 채 허술하게 지정한 사적지의 조성 시기가 30년 만에 삼국시대 백제에서 통일신라시대로 뒤바뀐 것이다.
2006년 시굴조사 결과, 이 지역은 통일신라시대 가마터 부속 쓰레기장으로 추정되므로 이것만으로는 가치가 없으니 사적 지정을 해제할 것을 권고했고 관할 지자체는 사적지 해지 신청을 했지만 문화재청은 그래도 보존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명칭을 ‘남현동 백제요지’에서 백제를 빼고 ‘서울 남현동 요지’로 변경했다.
문화재청은 역사적·학술적으로 의미가 큰 사적지의 조성 시대를 무려 30년간 잘못 알고 있었던 것도 모자라 명칭 변경을 하는데 4년이라는 시간을 지체했다.
최경환 의원은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은 채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지정해 놓고 30년 동안 잘못된 것을 알지 못했다는 것은 문화재 관리행정이 얼마나 허술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며 “문화재청은 지자체에 책임을 떠넘기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문화재에 대한 더욱 세심하고 꼼꼼한 관리가 요구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