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변생태벨트 조성대상 면적대비 조성률 43.3%에 불과
- 수변생태벨트 조성률 25.9%로 금강유역환경청이 가장 낮아
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해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지역을 수변구역으로 지정하고, 오염원 차단을 위해 매수한 토지에 습지를 조성하거나 수목을 식재하는 수변생태벨트 조성사업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석현 위원(새정치민주연합, 안양동안갑)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수변생태벨트 조성 대상은 2,718만 8천m2 중 조성된 면적은 1,176만 3천m2로 43.3%에 불과하였음.
유역별 조성률은 금강이 25.9%로 가장 낮았으며, 영산강 35.7%, 낙동강 48.6%, 한강 85.4% 순이었음.
※표: 첨부파일 참조
이석현 위원은 “강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수변구역에 습지를 조성하거나 나무를 심어야 하는데, 환경청은 땅만 사놓고 그냥 내버려두고 있다.”라고 지적하면서, “상수원 수질 보전이라는 사업의 본래 취지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변벨트 조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