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한국한중앙연구원, 국보 1점 등 15건 국가지정문화재 훼손 심각, 정부 코드사업에 밀려 예산부족으로 뒷전

    • 보도일
      2014. 10. 14.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안민석 국회의원
한국학중앙연구원(이하 한중연)에서 보유중인 국보 제283호‘통감속편’등 15건의 국가지정문화재가 복원 예산이 부족해 수 년째 임시 보존처리만 한 채 보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민석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경기 오산)이 한중연에서 받은‘문화재 보존 처리 현황’에 따르면 한중연 장서각이 보유하고 있는 소장자료 167,494점 중 문화재 약 4,600건의 보존처리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보‘통감속편’을 비롯해 보물 6점 등 15건의 지정문화재는 곰팡이, 벌레분비물 등의 오염으로 훼손이 심각한데, 예산 부족으로 2년 후인 2016년까지 복원할 계획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경북유형문화재 제245호인 성주이씨 초상화도 초상화의 전체에 꺾임이 심하고 변색이 심한 상태인데, 2019년까지 복원할 계획이다. 이처럼, 문화재 보존 관리는 뒷전인채, 한중연의 설립 목적과 기능에 부합하는지 의심되는 여러 연구과제에 과도한 예산과 인력을 편성하고 있어 비판이 제기됐다. 전형적인 박근혜 정부 코드 맞추기 사업인 <사진으로 읽는 한국근현대사> 연구 및 제작’과제에 5억이나 사용했으며, ‘새마을 운동 소스북’(2012∼2013년)이라는 연구과제로 6천만원을 사용했다. 또한, 올해는‘새마을운동 이후의 새마을 운동’연구과제로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1,100만원을 지원받아 연구자에게 지급하기도 했다. 안민석 의원은 “한중연이 정부 눈치 보기에 급급하여 당장 시급한 역사적 중요 문헌 복원과 관리는 등한시하고 있다”며“원장이 임기 내에 대한민국 역사 논란의 중심에 서기보다 임기가 끝났을 때 남아있는 기관과 직원들을 위해 한중연 본연의 업무에 힘써주시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첨부자료 :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