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정책정보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국회·국회의원 보도자료

    “멸종위기종으로 뉴트리아를 퇴치?”

    • 보도일
      2014. 10. 16.
    • 구분
      국회의원
    • 기관명
      은수미 국회의원
새정치민주연합 은수미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이 국립생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뉴트리아 자연적 관리방안 연구 현황’에 따르면, 생태원이 연구 중인 뉴트리아 저감 방안은 천적을 활용한 개체군 조절 방식이다. 그런데 천적인 삵이나 수달 등은 멸종위기종으로 실제 연구대로 정책이 진행될 수 있을지 실효성이 떨어지는데다가, 담당 연구 인력도 2명으로 연구 수행을 이어가는데 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생태원은 국립환경과학원이 2013년부터 수행하던 연구를 이어받아 올해부터 천적에 의한 뉴트리아 개체군 조절을 뉴트리아 퇴치방안으로 연구 중이다. 국립생태원이 연구 중인 뉴트리아 자연관리 방안은 뉴트리아의 천적이라고 추정중인 삵, 너구리, 수달을 통한 먹이사슬을 이용한 개체군 조절방법이다. 그러나 연구의 전제가 되는 삵, 너구리, 수달의 뉴트리아 천적성 여부에 대한 조사도 현재 진행중으로 나타나 그야말로 ‘연구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삵과 수달은 멸종위기종으로 복원과 보호가 필요한 종으로 실질적으로 삵과 수달이 천적이라고 해도 자연관리 방안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높다. 특히 2013년 국립환경과학원이 연구를 시작할 때의 상황과 달리 현재는 뉴트리아가 한국의 기온에 적응하기도 했고, 온난화로 인해 번식력이 훨씬 강해졌기 때문에 연구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이 연구를 담당하는 인력은 6명이지만 상근하며 담당중인 내부인력은 2명에 불과하며 나머지 4명은 현지조사 때 동원되는 인력으로 우리나라에 이미 현지화 되어 번식중인 뉴트리아의 습성과 분포도를 연구하고 천적으로 추정되는 삵, 너구리, 수달 등의 자취도 함께 연구하기에는 수행인력이 너무 부족하다. 은수미 의원은 “뉴트리아로 인해 농민분들을 비롯한 서식지 주변 주민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하지만 포상금을 걸어놓고 막무가내로 퇴치하는 방안은 이미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뉴트리아의 급속한 번식을 통해 입증되었다.”고 지적하면서 “국립생태원에서 장기적으로 생태계 먹이사슬을 이용한 뉴트리아 퇴치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지만, 그에 앞서 담당 인력 충원과, 상황과 현실을 반영한 연구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