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원실에서 집필진 주요 이력 묻자 “알 수 없다”, 집필진 검증조차 안했나?
- 자체적으로 조사해보니, 대다수 집필진이 전교조원으로 확인. 편향성 우려
- 개발비 2.4억 원에 초중고학교 보급비만 20억 원 쓰였지만, 선택교과운영 10% 미만
- 교과서 활용계획에는 “해당 사회 현상의 구조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것 등을 적극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적시
- 일부 언론, ‘노동‧인권 중요성만 강조해 시장경제 원리 소홀 우려된다’ 지적
- 도교육청, 전국 시도 교육청에 공문 발송해 민주시민교과서 활용 협조 요청하기도
<질의사항>
◎ 이재정 교육감에게 질의하겠음.
◎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2013년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교과서를 제작함.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교과서는 초등학교 2종, 중학교 1종, 고등학교 1종 등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4종 8책을 개발했으며, 예산 2.4억 원이 쓰임. 그리고 2014년 관내 초‧중‧고 2,179개 학교에 교과서를 배포함. 관내 교과서 보급 관련 예산은 23.7억 원임.
◎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개발에는 교과서당 8명~12명이 집필진으로 참여했으며, 집필진은 경기도와 다른 시도의 교원과 별도의 자문인력 등으로 구성했다고 함. 이와 관련해 (의원실에서 교육청 담당자에게) 유선을 통해 교과서 집필진의 주요경력을 물으며, 참여한 교원들이 전교조나 기타 단체에 속했는지 알 수 있는지에 대해 문의한 결과, 집필진 개개인의 전교조 여부는 알 수 없고 조사하지도 않았다고 답함.
◎ 초중고 학생들에게 정규 교과과정에서 쓰이는 교과서를 만드는 집필진이 정치적 편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절차라고 생각하는데, 이런 기본적인 절차도 거치지 않고 집필진을 구성해 교과서를 제작한 것인지? 아니면 의도적으로 숨긴 것인가? (※ 확인했다고 답 한다면, 의원실의 국정감사 요구 자료에 대해 거짓으로 답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 의원실에서 직접 집필진을 확인한 결과, 대다수의 집필진이 전교조 소속 교원인 것으로 드러남. 집필진 중 한명은 「함께해요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이란 논문을 썼는데, 논문에서 ‘전국사회교사모임에서 오랫동안 저와 같은 생각이 같은 교사들과 연구하고 활동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이 전국사회교사모임이 어떤 단체인지 알고 있나?
◎ 전국사회교사모임은 ‘전교조 홈페이지 내 참교육실천’이란 배너에 들어가면 찾을 수 있는데, ‘전국사회교사모임은 1989년 전교조 결성으로 표출된 교육운동과 출발을 같이 합니다’고 안내하고 있음. 전교조가 아니면 모임에 가입할 수도 없음. 전교조의 산하모임이란 것임. 다른 집필진들도 각 지부에서 활동하는 전교조 운동에 이름을 올리고 있음. 결국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은 전교조의 교원들이 주축이 돼 만들어 낸 것임. 이런 특정정치 성향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다수의 집필진이 만든 책을 도내에 보급해서 아이들에게 교육을 시키라고 하는 것에는 의도가 담겨져 있는 것은 아닌지?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