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적 여건과 이용객의 수요, 항공사들의 독점적 지위”가 인천공항의 ‘허브전략’을 가로막는 상황, 허브화 전략에 대한 재검토 필요!
인천국제공항에 동북아 허브전략이 없다라는 지적이 나왔다.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오병윤 의원(통합진보당, 광주서구을)이 인천공항공사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천공항의 여객환승률은 6년전인 2008년 수준보다 낮아졌다. 또한, 허브화 전략의 성패를 가르는 저가항공사를 통한 환승에 대한 기여는 0.2%에 그쳤다. 또한, 대한항공, 아시아나 등 국내 대형 항공사도 허브화 전략을 따르지 않았다. 이로 인해, 외국항공사의 인천공항 환승률도 2%대에 머물게 되며, 국내대형항공사가 환승의 94%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 2014년 인천공항 여객환승률 ‘14.8%’, 2008년 ‘15%’ 보다 조금 낮아져
- 동북아 허브전략 핵심지표인 ‘여객환승률’이 08년으로 추락!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