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 도전 당해도 눈으로 확인 전에는 알길 없어
- 한전 도전에 속수무책, 스마트그리드·빅데이터 도입 서둘러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전하진 의원(새누리당, 분당을)이 2014년 한국전력공사 및 한국전력거래소 등 국정감사에서 도둑맞는 전기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조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 의원은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가 소비자에게까지 가는 가운데 손실되는 전기량이 약 5%에 달하는데, 이때 손실되는 전기의 이력관리가 되지 않아서 송·배전시 유실되는 전기 이외에도 도전(盜電) 등의 전기량도 상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문제제기는 전기 송·배전 시스템에서 기인한다. 현재 시스템은 단순히 발전사들로부터 사들인 전기의 양과 각 소비자가 사용한 양을 측정한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의 전기량 측정으로 실시간으로 유실 양을 측정할 수 없다.
이에 이유가 불분명하게 손실된 전기는 송·배전 시 발생하는 통상적인 유실로 판단하고 별다른 이력관리를 하지 않는다. 이렇게 유실되는 전기가 전체 전기량의 5% 정도에 이른다.
작년 한해, 국내에서 생산된 총 전력량, 즉 발전량은 5,390억kWh로써 이 중 유실되는 전기는 약 5%로 269.6억kWh다. 이를 지난해 기준 전력 거래 시장가격인 87.81원/kWh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2조 4천억원에 달한다.
따라서 이렇게 관리되지 않는 비용과, 입찰에만 참여하고 실제로는 전력을 생산하지 않으며 받아간 용량요금(CP) 3~4000억을 합쳐 스마트 그리드 구축 및 빅데이터에 투자한다면, 유실전기관리 및 스마트그리드, 빅데이터 시장 선도 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