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리사 의원 “장애인, 노약자 위한 장애물 없는 관광환경 조성 시급”
- 장애물 없는 관광 환경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인증제 도입 필요
- 맞춤형 관광코스 개발 및 통합형 관광정보 제공해야
○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 에리사 의원(새누리당, 비례대표)은 10월 17일(금) 국정감사에서 한국관광공사를 상대로 국내 유명 관광지의 장애인 불편 시설 사례를 들며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장애물 없는 관광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인사동, 한국민속촌, 전주 한옥마을, 강릉 경포대 등은 누구나 아는 유명 관광지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위한 편의시설은 형편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 대부분의 관광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은 출입문 단차(턱)으로 인해 장애인의 출입이 어려운 곳이 많고, 휠체어 경사로가 설치된 곳도 경사각도가 너무 급하거나, 추락방지턱, 손잡이 등이 설치되지 않아 오히려 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 또한 장애인의 이용을 고려하지 않은 안내소(매표소)의 설치, 장애인 화장실의 설치 문제, 관광지 보행로의 평탄하지 않은 마감재와 장애물 등으로 인해 휠체어, 유모자 등의 이동이 불가능하며, 노약자의 이동에도 장애를 주는 경우가 많았다.
※ 붙임 : 주요 관광지 장애인 불편 시설 사례
○ 이 에리사 의원은 “장애인, 노약자 위한 장애물 없는 관광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며, “보건복지부와 국토교통부 공동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BF, Barrier Free)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일부 문화·관광시설에도 적용되긴 하지만 제한적이라며 관광시설 전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인증제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