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5개 공기업 부채 23조2,906억원, 5년동안 2조7337억원 증가
- 5개 공기업 사장 평균 연봉 1억4,657만원
서울시 산하 주요 5개 공기업의 올해 현재 기준 부채가 23조2,906억원으로 2010년말보다 무려 2조7,337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원 의원(새누리당, 경기 고양덕양을)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5개 공기업의 부채 총액은 계속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0년 20조5,569억원, 2011년 22조109억원, 2012년 22조8,341억원, 2013년 23조337억원, 2014년 현재 23조2,906억원으로 5년 연속 증가했다.
회사별로는 SH공사가 18조7,581억원으로 전체 부채의 80.5%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서울메트로 3조3,293억원(13.0%), 도시철도공사 1조2,777억원(5.5%), 농수산식품공사 1,635억원(0.7%), 서울시설공단 535억원(0.2%) 등이다.
한편 조 단위 빚을 지고 있는 서울시 산하 공기업 기관장의 연봉은 평균 1억4657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메트로 사장 연봉은 1억8,372만원으로 서울시 산하 공기업 기관장 중 가장 높았으며, 도시철도공사 사장 1억5,672만원, 시설관리공단 1억3233만원, SH공사 1억3,198만원, 농수산식품공사 1억2,811만원이다.
SH공사의 부채 증가는 마곡·위례신도시 등 대단위 개발사업에 따른 국민주택기금(임대)과 민간금융 공모채권 증가, 임대주택 관리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지하철공사는 수송원가에 못 미치는 낮은 운임수준과 무임수송의 증가 등이 이유로 꼽힘. 농수산물식품공사는 가락시장 현대화사업 융자 등이 주요 원인임이다.
이날 김태원 의원은 “해마다 국감에서 되풀이 되고 있는 지방공기업 부채 문제를 언제까지 두고만 봐야하는 지 답답한 노릇이다.”며 “서울시는 부채감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 산하 공기업들은 경직성 경비 절감 등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