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남-충청지역 가계대출 증가율은 전국평균을 크게 상회해
- 각 지방 본부별 지역가계금융안정 모니터링 강화해야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전국의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증가액이 63조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 지역본부 국정감사에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 윤호중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경기 구리시)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 증가분이 박근혜 정부 출범 시기보다 62조 7,91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은행이 10월 13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총 717조2360억원으로 박근혜 정부 출범 시기인 2013년 2월보다 62조 7,910억원 증가함
*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 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
특히 같은기간 서울-인천-경기지역 가계대출 증가율 5.4% 보다 비수도권 증가율이 3배 더 높은 16.7%로 나타났다.
대전-충남-충북 지역은 평균 13.9% 증가하며, 전국 평균 증가율 9.6%보다 4.3% 더 높게 나타났으며, 광주-전남-전북 지역은 12.6% 증가하여 전국 평균치보다 3.0%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윤 의원은 “박근혜 정부 들어 지속적인 가계대출 증가에 따른 가계부채위험이 가중되고 있는데, 호남-충청지역의 증가율이 전국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큰 우려를 갖게한다”고 지적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2012년 0.84%를 기록했다가, 최근 0.6%대로 유지되고 있으나, 경기회복이 지연될 경우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중돼 가계소비 위축 가능성 큰 상황이다.
* 은행 가계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연말 기준): 2008년0.6%→2010년0.6%→2012년0.8%→2013년0.6%→2014년 8월 0.6%
이에 윤 의원은“한은 대전충남본부와 충북본부, 그리고 광주전남본부와 전북본부는 지역금융안정 차원에서 이 같은 상황에 유의하여 실효성 있는 대응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