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직장’이 된 서울보증보험 감사원의 5차례 지적도 무시.. 예보는 뭐했나
복리후생비만 42억 4,600만 원... 직원 1명당 337.5만원 꼴 손해보험사들과 경영 지표를 비교해 보니 손해는 ‘크고’ 경비는 ‘많아’ 급여성 경비 일반 손보사보다 12.6% 높아... 1인당 8,040만원
갚아야 할 공적자금만 7조 7,804억 원, 막대한 복리후생비와 방만 경영 ‘이래도 돼나’
상환해야 할 공적자금이 7조 7,804억 원에 달하는 서울보증보험이 과도한 복리후생과 방만한 경영으로 도마에 올랐다. 이러한 과다 복리후생에 대해 감사원에서 과거 5차례나 지적을 하였음에도 전혀 개선되지 않아, 이를 감독하는 예금보험공사의 무책임도 함께 문제가 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강기정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광주 북구갑)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보증보험은 지난 회계연도에 42억 4,600만 원에 달하는 복리후생비를 지출했다. 이는 전체 직원 수 1,258명(2014년 2월 28일 현재)으로 볼 때 1인당 337만 5,000원에 달하는 금액으로, 7조가 넘는 공적자금 부채를 감안할 때 지나치다는 것이 강 의원의 지적이다.
서울보증보험은 공기업은 아니지만 예금보험공사가 거의 대부분(93.85%)의 지분을 가지고 있고, 또한 지난 IMF 직후 20조 원에 달했던 부실채권으로 파산상태 직전이었던 것을 11조 9,161억 원의 공적자금 지원을 통해 회생시킨 회사이다. 현재도 전체의 2/3 정도인 7조 7,804억 원을 추가로 상환해야 하는 입장으로, 공기업 못지않은 최소한의 도덕성이 요구된다는 것이 강 의원의 주장이다.
「이하 생략」
※첨부파일 참조